본문 바로가기
쏠쏠 정보

ESTJ가 괜찮다면 진짜 괜찮은 것? 특징 연예인 주의사항

by editor_1 2024. 1. 3.

안녕하세요. 오늘은 "엄격한 관리자"라는 별명이 있는 ESTJ에 대해 자세한 내용 알아보겠습니다^^

ESTJ 특징

먼저 ESTJ가 각각 의미하는 바를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E 외향적, 사람과의 상호작용을 즐김

S 실용적, 뜬구름 잡는 것이 아닌 세부 사항과 현재의 사실에 중점

T 사실중시, 분석적이며 이성적인 판단방식을 따름

J 계획성, 체계와 규칙 안에서 편안함을 느낌

 

이미지를 누르면 크게 확대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모임을 하나로 모으는 힘이 있으며 질서를 만드는데 특화된 ESTJ는 엄격한 관리자라고도 불리죠. 남들이 말하기 어려워 하는 얘기일지라도 필요한 얘기라면 조언함으로써 옳다고 믿는 그 길로 인도하고자 합니다.

유명 CEO나 정치인들이 이 유형에 해당하고, 인구 전체 중 11% 정도를 차지하니 그리 적은 수치도 아닙니다.

 

지도력을 갖추었고, 경제력이 좋은 편에 속합니다. 조직 안에서는 위세가 있으며 점잖은 모습을 보이고자 하죠. 그러다보니 조금은 차가워 보일 순 있습니다.

 

자기관리가 철저하며 스스로에게도 엄격합니다. 또한 맡아서 해야 할 임무를 중히 여기는 마음이 강해 조직 안에서 끝까지 의리를 지키고자 합니다. 

 

 

ESTJ 연예인

장동민, 김구라, 데프콘, 한가인, 한채영, 김준수, 류준열, 엠마왓슨, 헨리 포드 등

 

 

ESTJ 연애

연애에서도 ESTJ  특징을 확인해볼 수 있습니다. 상대방을 향한 의무감과 헌신으로 만남을 지속해가는데요. 사랑에 있어서도 진지하여 평탄한 결혼 생활을 그립니다.

새로운 변화를 반대하며 전통적인 것을 옹호하며 유지 경향이 있지만, 스스로를 통제하는 능력이 뛰어나 큰 불편함을 주지는 않는 유형입니다.

 

 

ESTJ 장점

맡은 임무를 확실하게 해낸다

규범을 중요하게 여기며 맡은 임무의 내용과 규모, 실현하는 방법 등을 이리저리 생각하며 실행해 냅니다. 한번 마음 먹은 일은 끝을 보려는 성향으로 맡은 일은 확실하게 끝냅니다.

강한 지도력

조직 구성원을 공정하게 대하며, 객관적으로 일을 배분하는 능력이 뛰어납니다, 그러면 자연스레 팀원들이 따르게 되죠. 책임감도 강하며 팀원들과 목표를 공유하며 이를 잘 따라올 수 있도록 안내합니다. 

의지력이 강하다

어떤 일을 이루고자 하는 강한 마음이 다른사람들을 향한 헌신으로 승화됩니다. 자신이 옳다고 생각하는 바를 포기하지 않고 그것을 이루어내기 위한 계획을 구체화하며 실행하기 위해 노력합니다. 

 


ESTJ 팩폭

지시와 지적이 심하다

허물을 콕 집어서 드러내고 즉각적으로 변화하길 바랍니다. 상대에게 지시하고 가르치려는 모습이 좋지 않게 비춰질 가능성이 급니다.

아랫사람들과 갈등을 빚곤 한다

옳다고 생각하는 바는 반드시 전달하며 직설적이기에 공감 능력이 낮게 느껴집니다. 특히 아랫사람들과 갈등을 빚기 쉬운 유형에 속합니다.

긴장을 완화하지 못한다

완벽해 보여야 한다는 생각으로 일상적인 상황에서도 긴장을 잘 풀지 못합니다. 완벽하게 보이려다보니 스스로를 피곤하게 만드는 것은 아닌지 생각해볼 필요가 있습니다.

 

 

ESTJ 특징을 살린 직업군


경영 : 메니저(관리자), 예산분석가, 감독관, 협회고문, 지배인 등

 

판매, 서비스 분야 : 감리사, 군 장교, 공무원(경찰관 등), 분석가 등

 

전문직 : 변호사, 의사, 임원, 판사, 회계사 등

 

뛰어난 현실감각, 조직 관리능력으로 조직과 사업을 운영하는데 탁월한 재능을 갖추었습니다. 계획적으로 일을 이뤄가는 분명한 체계와 규범이 있는 직종에서 일을 하는데 편안함을 느낍니다.

 


ESTJ 스트레스 해소방법, 주의사항

때론 여유를 갖습니다

ESTJ의 완벽주의가 타인의 부족한 일 처리 능력을 두고보지 못하죠. 타인의 몫까지 일을 2~3배 하다보니 여유가 부족해질 수 밖에 없는데요.

 

자신의 고민을 잘 들어주는 친구에게 고민을 털어 놓거나 자신의 기분을 캐치하며 인정하고 받아드리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스트레스를 자주 겪는 ESTJ라면 일에 집중할 수 있는 혼자만의 시간을 갖고 목표한 바를 아주 잘게 쪼개서 하나씩 이뤄내는 성취감을 갖도록 합니다.

주변을 돌아보려고 노력한다

본인의 신념을 너무 고집하다보면 자신도 모르게 타인을 불편하게 하지는 않았는지, 직설적인 말로 타인의 감저을 상하게 하지는 않았는지 돌아봐야 합니다.

 

분명히 ESTJ는 멋진 유형이며 타인의 존경심도 받을 수 있는 사람입니다. 하지만 곁에 있는 사람을 돌아보지 못한다면 독단적으로 느껴직기도 한답니다.

 

 


오늘은 ESTJ 특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MBTI 유형마다 특징이 정말 다양하죠. 각 특징을 알아감으로써 타인을 이해하며 자신의 부족함을 개선하는 계기로 삼는 기회가 된다면 좋을 것입니다.

‘도대체 ESTJ는 어떤 유형이길래 그런 행동을 하는거지?’라는 생각으로 이 글을 클릭하신 다른 MBTI 유형의 분들이 답답한 마음을 조금이나마 해소하시길 바랍니다.

 

물론 재미로 편한 마음으로 이 글을 읽기를 바라지만 때로는 이 글이 서로를 이해하는 도구이자, 때로는 자신을 알아가는 계기로 삼아 도움을 받으셨으면 하는 바람입니다. 감사합니다.

반응형